日무라야마 별세에 여야 애도…"'침략' 명시한 용기있는 지도자"
"무라야마 前 총리 정신 받들어야"…한목소리로 고인 기려
여야 정치권은 17일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전 일본 총리의 타계에 한목소리로 애도를 표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고인은) 일본 총리로서 처음으로 과거사를 '침략'으로 명시하고, 진정성 있는 사과와 역사 인식을 천명한 용기 있는 지도자였다"고 밝혔다.
박 수석대변인은 일본의 식민 지배와 주변국 침략에 대한 반성 등을 담은 '무라야마 담화'에 대해 "한일 양국이 불행했던 과거를 넘어 상호 이해와 화해, 미래지향적 협력 관계로 나아갈 수 있는 정신적 토대가 됐다"며 "단순한 정치적 선언을 넘어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화해의 길을 제시한 역사적 이정표"라고 평가했다.
이어 "오늘날 일본 일부 지도자들이 무라야마 전 총리의 진정한 반성과 사죄의 정신을 계승하지 못하고 과거사 문제에 퇴행적 태도를 보이는 모습은 안타깝다"며 "일본 정치권이 고인의 뜻을 되새겨 역사 앞에 겸허히 서고, 무라야마 정신을 바탕으로 진정한 한일 관계 개선의 노력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박성훈 수석대변인도 서면 브리핑에서 "그는 식민지 지배와 침략이라는 행위가 막대한 피해와 고통을 안겼다는 역사적 사실을 인정했고, 사과해야 할 것은 사과하고 보상할 것은 보상하겠다는 결의를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고인은)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에 중요한 토대가 된 '무라야마 담화문'으로 일본의 양심을 보여줬으며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한 인물로 기억될 것"이라며 "그는 이 담화를 계승하지 않겠다고 한 아베 신조 전 총리를 비판하기도 했다"고 떠올렸다.
이어 "과거사를 직시하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려는 그의 발자취는 오늘날까지도 일본과 주변국들의 화해를 위한 지향점을 제시하고 있다"며 "일본은 이제라도 무라야마 전 총리의 정신을 받들어 잘못을 성찰하고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하는 용기를 내야 한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