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먹고 바로 드러눕는 '눕족' 당신, 가슴 타는 통증 느낀다면..
밥 먹고 바로 누우면
밥을 먹은 후 바로 누우면 음식물의 소화 과정을 방해한다. 앉아 있거나 서 있는 등 활동을 해야 음식물이 제대로 밑으로 내려간다. 누워 있으면 이런 소화 과정이 제대로 이뤄질 리 없다. 더욱이 위에서 분비되는 위액 등이 오히려 식도 쪽으로 역류하기도 한다. 이게 악화하면 ‘위·식도 역류 질환’에 걸릴 수 있다. 일상생활을 할 때 가슴이 타는 듯한 느낌이나 목에 뭔가 낀 것 같은 불편함을 줘 주의해야 한다.
약해진 위(胃) 괄약근
우리가 먹은 음식물은 식도를 지나 위로 간다. 이때 위 안에 있는 내용물이 다시 식도로 올라오지 않도록 막아주는 괄약근이 있다. 이 괄약근 기능이 떨어지면 위→식도로 역류하게 된다. 이때 점막을 자극해 통증이나 불쾌감을 일으키는 것이다. 심하면 염증까지 일으킨다. 일명 역류성 식도염으로 불리는 위·식도 역류 질환이다.
역류 질환은 내시경으로 봤을 때 염증이 있는 역류성 식도염과 증상은 있지만, 내시경 소견이 정상인 비미란성 역류 질환으로 나뉜다.
가슴 타는 느낌 든다면
위·식도 역류 질환의 가장 일반적인 증상은 가슴뼈 뒤쪽이 타는 것 같은 느낌이다. 악화·호전이 반복된다. 또 삼키면 곤란도 겪게 된다. 구토가 나타날 수도 있다. 아울러 인두와 폐 기능에도 영향을 준다. 만성기침이나 기관지 천식, 심지어 충치, 잇몸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생활습관 고쳐야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생활습관이 중요하다. 담배를 피운다면 반드시 끊어야 한다. 술과 커피, 탄산음료, 오렌지·토마토 주스 등 역류성 식도질환 증상을 유발하는 음료는 되도록 피해야 한다.
기름진 음식도 마찬가지다. 위 속에 덩어리 형태로 남아 역류 기회가 상대적으로 많다. 줄이는 게 좋다. 잠을 잘 때는 상체 부위를 약간 높여보자. 특히 식후에 곧바로 눕지 않도록 한다.
약물치료 병행방법도
이런 생활 습관 변화에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으면 약물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 질환의 80% 정도는 생활습관 변화와 약물치료로 호전된다. 만일 부족하다면, 느슨한 하부 식도 괄약근을 수술로 조이는 치료법이 있다. 내시경 치료법을 고려할 수 있다. 매우 드문 경우지만 역류성 식도염이 심각한 상태가 지속하면, 식도 협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정훈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떡과 고기, 전 등 명절 음식은 역류를 유발하기가 쉽다”며 “오랜만에 가족들과 함께하는 즐거운 마음에 역류 질환의 최대의 적인 ‘과식’까지 하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